Computer Science
[정보보호] 대칭 키 암호
1. 대칭 키 암호 알고리즘 대칭 키 암호(Symmetric Cryptographic Technique) 알고리즘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비밀키를 사용한다. 대칭 키 암호에 사용되는 키를 대칭 키, 비밀 키, 관용 키, 공용 키, 단일 키 등으로 부른다. 대칭 키는 송ㆍ수신자가 사전에 공유해야 한다. 따라서 교환 과정에서 제삼자에게 키가 누설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대칭 키 암호는 비대칭 키(공개 키) 암호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속도가 빠르다. 대칭 키 암호는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을 제공한다. 2. 대칭 키 암호의 특징 대칭 키 암호(Symmetric Cryptographic Technique)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암ㆍ복호화 키가 동일(=대칭 키, 비밀 키, 관용 키, 공용 키,..

[정보보호] 에니그마 암호 기계
1. 에니그마 암호 기계란? 에니그마(ENIGMA)는 독일어로 수수께끼를 의미하며, 암호문을 작성하고 해독할 수 있는 기계를 말한다. 에니그마는 여러 사람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이들 중 독일의 아서 세르비우스(Arthur Scherbius)가 개발한 에니그마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에니그마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군사기밀 암호화에 사용하였다. 에니그마를 이용한 기계 암호는 2차 대전에 사용된 암호 중에서는 가장 해독이 어려웠다. 2. 에니그마의 구조 ㄱ. 자판, 톱니바퀴, 전지, 전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ㄴ. 문장을 입력하면 회전자가 돌면서 암호문, 평문을 만들어낸다. ㄷ. 암ㆍ복호화를 1대의 기계로 수행하므로 송ㆍ수신자 각각 에니그마 1대씩 필요하다. 3. 통신 키와 날짜별 키..
[정보보호] 정보보호의 기본적 개념과 정의
1. 개요 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란, 정보의 수집ㆍ가공ㆍ저장ㆍ검색ㆍ송신ㆍ수신 과정에서 정보가 훼손되거나 변조되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ㆍ기술적 수단 또는 그러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를 말한다. 인터넷과 정보보호는 아주 밀접한 관계이다. 인터넷은 전 세계에 개방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인터넷이 처음 개발되었던 시기에는 보안 관련 기능을 포함하지 않았다. 하지만 인터넷의 인기가 매우 높아지면서 개인정보 탈취 등 인터넷을 이용한 범죄 또한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정보보호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2. 정보보호 서비스의 종류 ㄱ. 기밀성(Confidentiality) ▶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정보를 탈취하더라도 그 내용을 모르도록 한다..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데이터 통신망 기술
■ 데이터 통신망 기술 1. 개요 데이터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은 다음처럼 구분할 수 있다. 2. 회선 교환방식(Circuit Switching) 전용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회선 교환방식(Circuit Switching)이라고 한다.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통신 경로가 미리 설정되어야 하며, 통신하는 동안에는 해당 송·수신자만이 회선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회선 교환방식은 음성 통화와 같이 실시간 응답이 필요하거나 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적합한 방식이다. 3. 패킷 교환방식(Packet Switching) 데이터를 '패킷(Packet)'이라는 네트워크 전송의 용량 단위로 주고받는 방식을 패킷 교환방식(Packet Switching)이라고 한다. 패킷 교환방식은 물리적인 하..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의 관리
관련 게시글 https://2sjin.tistory.com/86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 관리 기법 관련 게시글 https://2sjin.tistory.com/66 [컴퓨터공학개론]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의 관리 ■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의 관리 1. 개요 RAM과 같은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부족하다면, 주기억장치.. 2sjin.tistory.com ■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의 관리 1. 개요 RAM과 같은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부족하다면, 주기억장치를 확장하는 방법도 있지만, HDD와 SSD 등의 보조기억장치 일부 영역을 주기억장치와 논리적으로 합쳐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때 합쳐진 보조기억장치의 영역을 가상기억장치(Virtual M..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 1. 개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는 CPU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 버퍼(Buffer) 메모리이다. 캐시 메모리는 주기억장치인 RAM보다 훨씬 빠르고 작으나 용량 대비 가격이 비싸다. 주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 중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별도로 불러와 저장해 놓으면, 중앙처리장치가 필요한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서 찾아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중앙처리장치가 데이터를 찾기 위해 주기억장치까지 접근하는 것보다 속도가 매우 빨라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부분 프로그램은 한 번 사용했던 데이터를 다시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어떤 특정한 데이터와 연관성 있는 주변의 데이터들도 함께 사용될 수..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중앙처리장치(Control Processing Unit, CPU)
■ 중앙처리장치(Control Processing Unit, CPU) 1. 개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는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데이터를 연산 및 처리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가장 핵심적인 컴퓨터의 제어장치, 혹은 그 기능을 내장한 칩을 말한다. 중앙처리장치 중에서도 특히 하나의 칩으로 이루어진 중앙처리장치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라고도 한다. ▲ Intel CPU ▲ AMD CPU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의 연산 기능, 제어 기능, 기억 기능 등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중앙처리장치의 핵심 기능들에 대한 성능을 결정하는 데에는 코어의 개수와 클럭(Clock) 속도의 비중이 가장 크다. 2. 산술 논리 연..
Open Source Software License 특성과 비교
1. GPL(General Public License) ■ 주체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 FSF) - 리처드 스톨먼(Richard Stallman) ■ 특징 - 강한 제약 조건을 포함하고 있음 - GNU(Gnu is Not Unix) 프로젝트로 배포하는 S/W에 적용하기 위함 - 어떤 목적으로, 어떤 형태로든 사용 가능 - 변경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경우 무조건 GPL로 공개해야 함 ■ 조건 - 수정한 소스코드 혹은 GPL 소스코드 활용 S/W 모두 GPL로 공개 - 라이선스 및 저작권 명시, 변경사항 안내 - 상업적 이용, 배포, 수정, 특허 신청, 사적 이용 가능 - 보증책임 없음 - 2차 라이선스 금지 ■ 사용 예 - Mozilla Firefox(v2...
알고리즘 Term Project - 최소비용 신장 트리
알고리즘 - 최소비용 신장 트리 : Kruskal 알고리즘(Term Project) 20194146_이승진_Kruskal.pdf drive.google.com
운영체제 Term Project - 버퍼 기반의 고속 암호화기
운영체제 - 버퍼 기반의 고속 암호화기(Term Project) 20194146_이승진.pdf drive.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