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sjin
2sjin
2sjin

블로그 메뉴

  • My GitHub
  • 전체 게시글
    • UNIX 이론 정리
    • Linux
      • Linux 관련 노하우
      • Linux 과제
      • OracleCloud & Ubuntu
      • Tomcat Server
      • MySQL Server
      • 구름 OS
      • 라즈베리파이4
    • 데이터베이스
      • DB 관련 노하우
      • DB 과제
      • DB 프로젝트
    • Unity
    • Computer Science
      • 통신 & 네트워크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운영체제
      • 정보보호
      • 기타 분야
    •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공학
      • 프로그래밍 언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개인 Term Project
  • 팀 프로젝트

최근 글

티스토리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2sjin

2sjin

Computer Science/통신 & 네트워크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데이터 통신망 기술

2022. 10. 3. 14:23

■ 데이터 통신망 기술

 

1. 개요

데이터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은 다음처럼 구분할 수 있다.

 

2. 회선 교환방식(Circuit Switching)

전용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회선 교환방식(Circuit Switching)이라고 한다.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통신 경로가 미리 설정되어야 하며, 통신하는 동안에는 해당 송·수신자만이 회선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회선 교환방식은 음성 통화와 같이 실시간 응답이 필요하거나 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적합한 방식이다.

 

3. 패킷 교환방식(Packet Switching)

데이터를 '패킷(Packet)'이라는 네트워크 전송의 용량 단위로 주고받는 방식을 패킷 교환방식(Packet Switching)이라고 한다. 패킷 교환방식은 물리적인 하나의 회선을 여러 개의 논리 채널로 나누어 사용한다.

패킷은 패킷 교환기의 경로 선택에 따라 전송되는데, 모든 패킷을 같은 경로로 전송하는 방식을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방식이라 하고, 패킷마다 상황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서로 다른 최적의 경로로 전송하는 방식은 데이터그램(Datagram) 방식이라고 한다.

패킷 교환방식은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짧은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방식이다.

 

4. 비교

교환방식 전용 회선 통화중일 때 지연 전송 과부하 시 대역폭
직접교환
(회선 교환방식)
있음 ‘통화 중’
신호
불가능 연결 후는 무관 고정 대역폭
축적교환
(패킷 교환방식)
없음 교환기가 데이터 수신 가능 전송시간 지연 가변 대역폭
 

'Computer Science > 통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네트워크] 무선통신의 종류  (0) 2022.10.27
[모바일 네트워크] TCP/IP Model  (0) 2022.10.27
[모바일 네트워크] OSI 7 Layer Model  (0) 2022.10.27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및 기능  (0) 2022.10.26
[모바일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분류  (0) 2022.10.26
'Computer Science/통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바일 네트워크] TCP/IP Model
  • [모바일 네트워크] OSI 7 Layer Model
  •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및 기능
  • [모바일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분류
2sjin
2sjin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