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Linux 관련 노하우

    Linux에서 GitHub에 Push할 때 인증 생략하기

    Linux에서 GitHub 원격 저장소에 Push할 때 마다, Username과 Password를 요구한다. Password는 GitHub 계정 패스워드가 아닌 임의의 문자열로 구성된 토큰(Token)의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Linux 패스워드 입력은 글자수가 보이지 않고 붙여넣기도 불가능해서, 토큰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하기 매우 번거롭다. 그래서 인증 과정을 생략하고 더욱 간편하게 Push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1. GitHub 인증용 토큰 생성(Classic Token 기준) 1-1. GitHub 우측 상단 메뉴 [Settings] 클릭 1-2. 좌측 메뉴의 [Developer settings] 클릭 1-3.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 (classic)..

    Linux에서 Git & GitHub 사용하기(명령어 요약)

    1. Git 설치 및 초기 설정하기 1-1. Git 설치 $ sudo apt-get install git 1-2. Git 버전 확인 $ sudo git --version 1-3. 사용자 정보 입력 Email 예시: options3224@naver.com Name 예시: 2sjin $ sudo git config --global user.email "options3224@gmail.com" $ sudo git config --global user.name "2sjin" $ sudo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 vim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vim 대신 vi, nano 등 본인이 사용하는 편집기를 입력해주면 됨. 1-4. 입력한 사용자 정보 확인 $ sudo git con..

    vim 편집기 단축키 요약

    저장 및 종료 명령어 명령어 설명 :w 파일 저장 :w filename 파일명을 filename으로 저장 :w >> filename 파일 filename에 이어쓰기(Append) :q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vim 종료 (종료하기 전, 저장할지 안할지 묻는 메시지 출력됨) :q!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vim 종료(강제 종료) ZZ 파일 저장 후 종료 :wq 파일 저장 후 종료 :wq! 파일 강제 저장 및 강제 종료 :e filename 파일 불러오기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명령어 설명 i 커서 위치에서 입력 모드 전환 a 커서 위치 다음 칸부터 입력 모드 전환 o 커서 위치의 다음 행을 개행한 후 입력 모드 전환 s 커서 위치의 한 글자를 지우고 입력(한 글자를 지움 + i 모드) r 커서의 글자..

    Linux 기본 명령어 요약

    Shell 기본 명령어 명령어 기능 형식 및 옵션 clear 화면 지우기 $ clear logout / exit 접속 끊기 및 로그아웃 ([Ctrl] + [D]) $ logout 또는 $ exit 파일 및 디렉토리 속성 확인 명령어 기능 형식 및 옵션 ls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 출력 $ ls [옵션] [파일 또는 디렉토리] -l : 자세히 보기(크기, 저장 날짜, 허가권, 소유권 등) -a : 숨겨진 파일(마침표로 시작) 포함 -t : 시간 순서대로 정렬 -R : 재귀적으로 출력(하위 디렉토리 파일) pwd 현재 디렉토리 확인 $ pwd tree 디렉토리 구조 트리모양으로 출력 $ tree cd 디렉토리 이동 $ cd [디렉토리] ※ 디렉토리 ~ : 자신의 홈 디렉토리(디렉토리 생략하는 것과 같음) ~..

    Linux에서 'nslookup: 명령어를 찾을 수 없음' 해결

    nslookup 명령어는 IP Address 또는 Domain Name 등을 입력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DNS 서버에서 가져와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 nslookup [IP Address 또는 Domain Name] 그러나 아래처럼 'nslookup: 명령어를 찾을 수 없음' 메시지가 뜨는 경우도 있다. DNS 관련 기능이므로 dnsutils 패키지를 설치해 보았다. $ sudo apt-get -y install dnsutils 설치 후, google.com 도메인으로 테스트를 해 보았다. nslookup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Linux 환경에 접속하기 위한 4가지 수단

    1. 가상머신 소프트웨어에 ISO 설치하기 VirtualBox, VMware 등의 가상머신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Linux 설치 ISO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Linux OS를 설치할 수 있다. 2. Microsoft Store에서 앱 설치하기 (Windows 8 이상) Windows 8 이상의 Windows OS에서는 Microsoft Store를 지원한다. Microsoft Store에서 원하는 버전의 Linux를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다. 3. SSH 원격 접속(CLI) ‘PuTTY’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SSH 프로토콜을 통하여 클라우드 컴퓨터, 로컬 서버 컴퓨터, 라즈베리파이 등 다양한 Linux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4. VNC 원격 제어(GUI) ‘VNC Viewer’..

    FileZilla로 Windows와 Linux 파일 공유

    1. FileZilla 실행 후, '파일 > 사이트 관리자' 들어가서 [New site] 클릭하여 새로운 사이트 생성 프로토콜: SFTP - SSH File Transfer Protocol 호스트: Oracle Cloud 공용 IP 주소 사용자: Oracle Cloud 사용자 이름 키 파일: 개인키 파일(.ppk) 2. [연결] 클릭 시, Ubuntu 서버 내 파일 시스템에 접근 가능함 3. 전송받기 원하는 위치에 파일을 드래그하면 파일이 전송된다. '전송을 시작하지 못함'의 이유로 '전송 실패'가 뜨는 경우 해당 디렉토리의 퍼미션을 우선적으로 확인해 줄 필요가 있다. 다른 사용자(Other)의 쓰기(write) 권한이 없으므로, 해당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쓰기 권한 부여 예시: $ sudo chmod..

    Linux(Ubuntu) 서비스 관련 주요 명령어

    1. 패키지 관리: 설치된 패키지의 새로운 버전 확인 $ sudo apt-get update 2. 패키지 관리: 패키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명 3. 패키지 관리: 설치된 패키지들을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 sudo apt-get upgrade 4-1. 포트 확인(net-tools 패키지 필요) $ netstat -tnlp 4-2. 포트 확인(nmap 패키지 필요) $ nmap localhost 5. 포트 열기 $ sudo ufw allow 포트번호(또는 서비스명) 6. 서비스 자동 시작 활성화/비활성화 $ sudo systemctl enable 서비스명 $ sudo systemctl disable 서비스명 7. 서비스 시작/종료/재시작 $ sudo service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