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sjin
2sjin
2sjin

블로그 메뉴

  • My GitHub
  • 전체 게시글
    • UNIX 이론 정리
    • Linux
      • Linux 관련 노하우
      • Linux 과제
      • OracleCloud & Ubuntu
      • Tomcat Server
      • MySQL Server
      • 구름 OS
      • 라즈베리파이4
    • 데이터베이스
      • DB 관련 노하우
      • DB 과제
      • DB 프로젝트
    • Unity
    • Computer Science
      • 통신 & 네트워크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운영체제
      • 정보보호
      • 기타 분야
    •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공학
      • 프로그래밍 언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개인 Term Project
  • 팀 프로젝트

최근 글

티스토리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2sjin

2sjin

[모바일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분류
Computer Science/통신 &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분류

2022. 10. 26. 15:32

■ 네트워크 규모에 따른 분류

1. LAN(Local Area Network)

  • 수 km 이내의 근거리에 제한된 영역 내에서 사용하는 통신망
  • 회사, 학교, 연구소 등 특정 지역 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통신하는 방식
  • 고속통신 가능, 정보 오류율 낮음, 확장이 간편함, 원거리의 다른 LAN과의 접속이 쉬움

2. MAN(Metropolitian Area Network)

  • 수십 km의 도시 지역 통신망(LAN과 WAN의 중간 정도의 중형 통신망)
  • LAN보다 장거리이고 고속이며, 음성과 데이터 모두 전송

3. WAN(Wide Area Network)

  • 광역 통신망(도시나 국가 등 원거리에 있는 컴퓨터들을 연결)
  • LAN이나 MAN에 비해 저속, 전송 오류율이 높음

※ LAN과 WAN의 비교

구분 LAN WAN
거리 제한 있음 없음
제공 속도 고속
(10Mbps ~ 수 Gbps)
저속
(56Kbps~ T1, E1, T3 등)
연결 소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장비 등 노드 연결 LAN과 LAN 연결
(인터넷에서는 라우터로 연결)
유지 비용 적음 많음
소유자 단일 회사, 학교, 기관 공공기관
종류 이더넷, 토큰링, FDDI, ATM 등 PSTN, PSDN(X.25), ISDN, FR, B-ISDN 등

 

■ 동작 원리에 따른 분류

1. Peer to Peer(P2P) Model

  • Server와 Client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음
  • 모든 컴퓨터가 Server이며 동시에 Client가 될 수 있음
  • Server가 별도로 없으므로 모든 사용자들은 서로의 자원등을 network를 통하여 공유 
  • 파일 공유, 암호화폐 거래 등

2. Client/Server Model

  • 모든 자원들을 Server에서 관리하면서, Client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
  • Web Server, FTP Server, Mail Server, Printer Server 등

 

■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분류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1. 링형 토폴로지(Ring Topology)

  • 각 link가 단방향으로 이루어져 데이터가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됨
  • 각 node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access token을 보유
  • node의 수가 늘어나도 네트워크의 성능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
  • node의 추가 및 변경이 쉽지 않음(물리적으로 링을 절단해야 함)
  • 링에 결함이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음(이중 링 토폴로지를 사용하면 해결 가능함)
  • 주로 근거리 통신망에 사용

2. 망형 토폴로지(Mesh Topology)

  • 네트워크상의 모든 node를 상호 연결
  • 통신선로의 총 길이가 가장 긴 망 구조
  • 하나의 회선이 끊어져도 다중 경로로 통신이 지속되기 때문에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없음
  • 고비용, 설치 및 구성이 어려움, node가 많을수록 관리가 어려움

3. 계층형 토폴로지(Tree Topology)

  • 하나의 노드에 여러 개의 node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 각 node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데이터는 양방향으로 전송됨
  • 상위 node의 고장이 하위 node까지 영향을 미침
  • 통신량이 많은 경우 전송 지연이 발생함

4.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

  • 중앙에 망을 통제하는 Hub를 중심으로 전체 네트워크의 통신을 제어
  • 전형적 네트워크 구성 방식
  • 처리 능률이 높고 설치가 비교적 쉬움
  • 중앙 node가 고장이 날 경우 전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게 됨
  • 통신량이 많은 경우 전송 지연이 발생함

5. 버스형 토폴로지(Bus Topology)

  • 하나의 긴 케이블이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비를 연결하는 Multi-to-Point 회선 망 구조
  • 저비용, 설치가 용이함, node의 고장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중앙 케이블 고장 시 네트워크 전체가 동작하지 않음
  • node의 수가 많아지면 전체 회선의 성능이 저하됨

 

■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분류

1. 회선 교환망(Circuit Switched Network)

  • 통신 전에 물리적인 연결로 전용 통신 선로를 설정하여 통신이 끝날 때까지 연결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 대표 예는 전화망으로, 전화를 걸 때 교환기에 의해 폐쇄 회로가 일시적으로 만들어짐
  • 접속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함
  • 다른 통신 시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전송 지연이 거의 없음

2. 패킷 교환망(Packet Switched Network)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패킷(Packet)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눔
  • 패킷(Packet)마다 발신지와 수신지의 주소를 넣어 패킷(Packet) 교환망에 보냄
  • 패킷(Packet) 교환기가 그 주소를 보고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함
  • 통신 경로가 통신 시에 확정되지 않음(각 패킷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여러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음)

3. 셀 교환망(Cell Switched Network)

  • 망 내에서는 프로토콜을 간략화하여 데이터를 셀(Cell)이라고 부르는 패킷(Packet) 단위로 전송
  • Cell은 전송에 필요한 최소 기능만을 담당하고,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는 단말 간에서 처리하게 함으로써 회선 교환과 같은 고속성을 실현
  • 비동기 전송 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는 셀 교환망의 대표적인 형태
  • header 5 byte와 data 48 byte로 구성된 셀을 전송함
  • 고속 네트워크 전송에 효율적

 

 

《 참고 도서 》

 

 
모바일 네트워크 프로그래밍(2판)
『모바일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은 네트워크 이해에 기본이 되는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와 이동통신망에 기본이 되는 기술과 원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 설명과 함께 여러 가지 기술들을 언급하고, 최신 기술 동향을 설명했다.
저자
장종욱, 이숭희
출판
한산
출판일
2010.07.1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Computer Science > 통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네트워크] 무선통신의 종류  (0) 2022.10.27
[모바일 네트워크] TCP/IP Model  (0) 2022.10.27
[모바일 네트워크] OSI 7 Layer Model  (0) 2022.10.27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및 기능  (0) 2022.10.26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데이터 통신망 기술  (0) 2022.10.03
'Computer Science/통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바일 네트워크] TCP/IP Model
  • [모바일 네트워크] OSI 7 Layer Model
  •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및 기능
  •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데이터 통신망 기술
2sjin
2sjin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