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웹 브라우저, 워드프로세서 등)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 전자 우편, 파일 전송, 원격 접속, 자원 할당 등의 사용자 서비스 제공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형식 변환, 인코딩, 암·복호화, 압축 등을 담당
- ASCII, UTF-8, TXT, JPEG, GIF, MPEG, AVI 등
5계층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세션 수립, 관리 및 해제
-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세션 관리(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 제공)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출발지와 목적지 종단 간의 데이터 전송, 오류 복구 및 흐름 제어
- 데이터 단위: 세그먼트(Segment)
- 관련 장비: L4 스위치(L4 Switch)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데이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
- 주소 체계 결정, 경로 선택 및 중계, 상호 통신망 연결, 통신망 접속
- 데이터 단위: 패킷(Packet)
- 관련 장비: 라우터(Router), L3 스위치(L3 Switch)
※ 통신망 접속을 위한 연결 설정 방법
구분 접속형(연결형) - 가상회선 방식 비접속형(비연결형) - 데이터그램 방식 초기설정 존재 비존재 상대주소 접속 설정 시에만 필요 모든 패킷에 존재해야 함 패킷순서 전송 순서와 같음 전송 순서와 다름 에러제어 네트워크 계층에서 담당 전송 계층에서 담당 흐름제어 네트워크 계층에서 담당 수행 X 선택협상 존재 비존재 접속식별자 존재 비존재 예 전화망 인터넷망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인접한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
- 데이터 단위: 프레임(Frame)
- 관련 장비: 브리지(Bridge), L2 스위치(L2 Switch)
1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데이터 전송을 위해 link를 활성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 등을 정의
- Hub, Cable, Network Card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Bit(전기신호 또는 광신호) 송수신
- 데이터 단위: 비트(Bit)
- 관련 장비: 리피터(Repeater), 허브(Hub), L1 스위치(L1 Switch)
《 참고 도서 》
'Computer Science > 통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네트워크] 무선통신의 종류 (0) | 2022.10.27 |
---|---|
[모바일 네트워크] TCP/IP Model (0) | 2022.10.27 |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및 기능 (0) | 2022.10.26 |
[모바일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분류 (0) | 2022.10.26 |
[컴퓨터공학개론 과제] 데이터 통신망 기술 (0)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