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Tomcat 웹 사이트에 JSP 프로젝트 적용

    1. Eclipse에서 File > Export 클릭 → WAR file 선택 → [Next] 클릭 2. Web project는 원하는 프로젝트, Destination은 저장할 위치(파일명은 'ROOT.war'로 변경해줌) → [Finish] 클릭 3. Root.war 파일을 Ubuntu 파일 시스템으로 전송 자세한 파일 전송 방법은 아래 게시글 참조 FileZilla로 Windows와 Linux 파일 공유 4. tomcat9의 ROOT 부모 디렉토리로 이동 후, ROOT 디렉토리의 이름 변경 또는 삭제 $ cd /var/lib/tomcat9/webapps/ $ sudo mv ROOT/ ROOT-backup/ 또는 $ sudo rm -rf ROOT/ ※ 삭제의 경우 '-rf' 옵션으로 인하여 ROOT 내..

    FileZilla로 Windows와 Linux 파일 공유

    1. FileZilla 실행 후, '파일 > 사이트 관리자' 들어가서 [New site] 클릭하여 새로운 사이트 생성 프로토콜: SFTP - SSH File Transfer Protocol 호스트: Oracle Cloud 공용 IP 주소 사용자: Oracle Cloud 사용자 이름 키 파일: 개인키 파일(.ppk) 2. [연결] 클릭 시, Ubuntu 서버 내 파일 시스템에 접근 가능함 3. 전송받기 원하는 위치에 파일을 드래그하면 파일이 전송된다. '전송을 시작하지 못함'의 이유로 '전송 실패'가 뜨는 경우 해당 디렉토리의 퍼미션을 우선적으로 확인해 줄 필요가 있다. 다른 사용자(Other)의 쓰기(write) 권한이 없으므로, 해당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쓰기 권한 부여 예시: $ sudo chmod..

    MySQL Server(2) - MySQL Workbench 접속

    1. mysql 접속(root 권한) $ sudo mysql -u root -p 2. 데이터베이스 'mysql' 선택 use mysql; 3.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사용자 추가 # 사용자 이름은 admin, 비밀번호는 1111 # '%'는 localhost 외에도 외부 host의 접근이 가능한 계정임을 의미함 create user 'admin'@localhost identified by '1111'; create user 'admin'@'%' identified by '1111'; 4. user 테이블에서 사용자 조회 select host, user from user; 5. 사용자에게 전역 권한 부여(모든 데이터베이스 모든 테이블에 모든 권한 부여) grant all privileges on *.* to ..

    MySQL Server(1) - 패키지 설치(mysql-server)

    1. mysql-server 패키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2. 3306 포트 확인 $ nmap localhost 3. 방화벽 설정: 3306 포트 열기 $ sudo ufw allow 3306 4. mysql 서비스 자동 시작 설정 $ sudo systemctl enable mysql 5. mysql 서비스 시작 $ sudo service mysql start

    Tomcat 설치 및 웹사이트 접속

    1. tomcat9 및 관련 패키지 모두 설치 $ sudo apt-get install tomcat9* 2. 8080 포트 확인 $ nmap localhost 3. 방화벽 및 인스턴트 포트 열기: 8080 $ sudo ufw allow 8080 $ sudo iptables -I INPUT 5 -i ens3 -p tcp --dport 8080 -m state --state NEW,ESTABLISHED -j ACCEPT 4. tomcat9 서비스 자동 시작 설정 $ sudo systemctl enable tomcat9 5. tomcat9 서비스 시작 $ sudo service tomcat9 start 6. tomcat 웹사이트 접속(elinks 패키지 필요) $ elinks http://localhost:8..

    Linux(Ubuntu) 서비스 관련 주요 명령어

    1. 패키지 관리: 설치된 패키지의 새로운 버전 확인 $ sudo apt-get update 2. 패키지 관리: 패키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명 3. 패키지 관리: 설치된 패키지들을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 sudo apt-get upgrade 4-1. 포트 확인(net-tools 패키지 필요) $ netstat -tnlp 4-2. 포트 확인(nmap 패키지 필요) $ nmap localhost 5. 포트 열기 $ sudo ufw allow 포트번호(또는 서비스명) 6. 서비스 자동 시작 활성화/비활성화 $ sudo systemctl enable 서비스명 $ sudo systemctl disable 서비스명 7. 서비스 시작/종료/재시작 $ sudo service 서비스..

    PuTTY로 SSH 접속 (2) - 환경 설정 및 접속

    PuTTY 실행 후, Session 카테고리에서 공용 IP 주소 입력 Connection > SSH > Auth 카테고리에서 [Browse...] 눌러서 .ppk 파일 선택 다시 Session 카테고리로 돌아와서, Saved Sessions 입력창에 원하는 이름 선택 후, [Save] 누르면 설정 값이 저장됨. (나중에 원하는 항목 선택 후 [Load] 누르면 설정 값 불러오기 가능) 'login as: ' 에서 사용자 이름 입력(Oracle Cloud 참고)

    PuTTY로 SSH 접속 (1) - PuTTYgen으로 .ppk 파일 생성

    PuTTYgen 실행 → [Load] 클릭 → Private Key(.key) 파일 선택 → [Save private key] 클릭

    Oracle Cloud (2) - 공용 IP 설정

    인스턴스 세부정보 화면의 '인스턴스 액세스' 항목에서 공용 IP 주소 및 사용자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 IP 주소는 임시 IP이므로,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IP를 설정해야한다. 인스턴스 세부정보 화면을 아래로 내린 후, 좌측 메뉴에서 '연결된 VNIC' 클릭 후, 리스트에서 인스턴스 이름 클릭. VINC 화면을 약간 아래로 내린 후, 좌측 메뉴에서 'IPv4' 클릭. 공용 IP 주소가 임시 IP 주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리스트의 오른쪽 [ ⋮ ] 클릭(위젯 뒤에 반쯤 가려져있는 부분) 후 '편집' 선택. 공용 IP 없음 선택 후 [업데이트] 클릭. 다시 리스트에서 [ ⋮ ] 누르고 '편집' 눌러서 '예약된 공용 IP' 및 '새 예약된 IP 주소 생성' 선택. 공용 IP 이름은 원..

    Oracle Cloud (1) - 인스턴스 생성

    Oracle Cloud 로그인 후, 컴퓨터 > 인스턴스 들어가서 [인스턴스 생성] 클릭. 이름 및 네트워크 이름은 원하는걸로 지정. 이미지는 Canonical Ubuntu 최신 버전 선택, Shape는 VM.Standard.E2.1.Micro 선택 SSH 키 추가 항목에서 '자동으로 키 쌍 생성' 후 [전용 키 저장] 및 [공용 키 저장] ※ 파일 분실 시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백업 권장 ※ 전용 키(개인 키)는 유출 시 보안에 치명적이므로 철저한 관리 필요 부트 볼륨 항목에서 '사용자정의 부트 볼륨 크기 지정' 체크 후, 부트 볼륨 크기(GB) 조정 가능함.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 2개, 총 저장공간 100GB 이므로 각 50GB로 지정함.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인스턴스가 생성되며, 인스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