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Pv4 사용 현황과 전망
- 주소의 유한성(약 43억 개)으로 인한 IP 주소 부족
- 보안 측면에서 취약
- IPv6 필요성 증대(Mobiile IP의 대안으로 부상)
2. IPv4와 IPv6의 비교
구분 | IPv4 | IPv6 |
이미지 | ![]() |
![]() |
주소 길이 | 32비트 | 128비트 |
표시 방법 | 8비트씩 4부분으로 10진수로 표시 | 16비트씩 8부분으로 16진수로 표시 |
주소 개수 | 2^32개 (약 43억 개) |
2^128개 (약 3.4x10^38개) |
주소 할당 방식 | 클래스 단위의 비순차적 할당 | 네트워크 규모,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 할당 |
통신 방식 |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
헤더 크기 | 가변 | 고정 |
QoS 제공 | 미흡 | 제공 |
보안 | IPSec 프로토콜 별도 설치 | IPSec 자체 지원 |
서비스 품질 | 제한적 품질 보장 | 확장된 품질 보장 |
Plug & Play | 불가 | 자동 구성 지원 |
3. IPv4와 IPv6의 이전 전략
- IPv6는 주소 체계의 확장으로 기존의 라우터 사용 불가능
- 라우터 교체를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
- IPv4와 IPv6의 병행이 불가피함
- Dual Stack 기술, Tunneling 기술, IPv4/IPv6 Translation 기술 등을 이전 전략으로 활용
《 참고 도서 》
'Computer Science > 통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네트워크] 모바일 기술의 발전, 5G 이동통신 (0) | 2022.12.14 |
---|---|
IPv4 고갈 위기 및 해결방안(모바일네트워크 토의 수업) (0) | 2022.10.28 |
[모바일 네트워크] Mobile IP (0) | 2022.10.27 |
[모바일 네트워크] 무선통신의 종류 (0) | 2022.10.27 |
[모바일 네트워크] TCP/IP Model (0) | 2022.10.27 |